전체 글 240

앞으로 개발자는 어떻게 살아야할까

정말 어떻게 살아야할까AI 의 발전은 개발자에게 독일까 성배일까 독이든 성배일까애초에 이런 고민을 하는것도 웃기다 개발자라는 작자들은 왜 스스로 밥그릇을 걷어차는 도구를 만드는데이렇게 진심인걸까 나는 독이든 성배라고 생각한다.개발자라는 직업 자체는 사라지진 않을거다.모든 일에는 책임자가 필요한데 AI 가 아무리 완벽하더라도100퍼센트 완벽을 보장하지 않는다면 그걸 책임질 사람이 필요하다.AI 와 인간의 가장 큰 차이인데 신용을 부여할 수 있는지 여부다.그래서 결국 버그나 구현에 문제가 생겼을때 책임을 질 사람이 필요할거고 그 자리는 아무래도 개발자가 하게 될거다. 그럼 독이 들었다고 한 이유는 뭘까개발자의 자리 자체는 많이 줄어들 수 있다.물론 우리가 흔히 말하는 AGI 급의 AI 가 개발되기전까진 늘었..

잡담 2025.06.30

초초초 개인화 AI 일기

요즘 팀프로젝트로 하고 있는 ai 일기앱이 있다.이름은 아직 미정인데개인화된 ai 가 있는 일기앱을 만들려고 한다. ai 일기앱은 사실 찾아보면 꽤나 많다.LLM 을 써먹기 너무 쉬운 분야라서 그런것도 있는거 같다. 하지만 똑같이 만들거면 굳이 왜 만들겠나오늘 쓴 일기에 대한 ai 의 답변만 하는게 아니라유저의 일기를 모두 벡터화해서 오늘쓴 일기와 예전에 쓴 유저의 일기의 유사도를 체크하고장기기억하게 만든다. 그러면 오늘 취업면접을 갔는데 긴장이 생각보다 덜됐고 말도 잘했던거 같다 라는 글을 썼다고 치자.그런데 한달전에 비슷한 일로 일기를 적은적이 있을수도 있다. 그때는 긴장도 많이 됐고 준비한 만큼 대답을 못했다고 속상했던 일을 일기에 적었을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장기기억 유사도 일기 기능이 작동하고..

다작충 최데브

예 뭐 하나 끝까지 잡고 만들지도 않으면서 다작만 디집어지게 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팀으로 개인화 ai 앱을 하나 만들고 있고 나 혼자서는 노드 그래프 형 아이디에이션 앱을 만들고 있다.옵시디언이랑 https://goldenrabbit.co.kr/2024/06/14/zettelkasten-%EC%A0%9C%ED%85%94%EC%B9%B4%EC%8A%A4%ED%85%90%EC%9D%B4%EB%9E%80-%EB%A9%94%EB%AA%A8%EB%B2%95-%EC%8B%A4%EC%B2%9C-%EC%98%88%EC%8B%9C-%EC%98%B5%EC%8B%9C%EB%94%94%EC%96%B8/ [Zettelkasten] 제텔카스텐이란? | 메모법, 실천, 예시, 옵시디언제텔카스텐(Zettelkasten)은 지식 ..

잡담 2025.05.26

다꾸를 만들었다 (다이어리 꾸미기 라는 뜻)

처음엔 분명 일기앱을 만들 생각이였을텐데일기앱은 너무 흔하니까 직접 노트에 스티커도 붙이고 사진도 붙이고오늘 봤던 동영상 링크도 달고하면 좀 더 풍성한 일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다이어리 꾸미는 앱으로 틀었다.스티커는 지피티로 만들어달라고 해서 ai 로 누끼따서 만들었다.그림판 기능을 만들어서 그림그려서 일기에 넣는것도 구현은 해놨는데이게 첫번쨰 업데이트가 될 거 같다. IOS 버전으로도 출시를 해야하는데 개발자 계정이 매년 13만원이라 선뜻 손이 안간다.하지만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앱이면 IOS 는 필수인거 같다.. 이제 젊은이들은 안드로이드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으니까 ㅠ 아래는 그렇게 나온 앱 링크다.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ho..

fast api 를 해봤다.

최근 팀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개발자가 나 뿐이라flutter + fast api 조합으로 프로젝트를 구성하려고 했다.flutter 는 ios 네이티브 개발을 내가 잘하지 못하는것도 있고 개발 시간을 줄이기 위해 선택했고fast api 는 복잡한 세팅 없이 빠르게 개발을 진행할 수 있으면서 성능도 준수하다고 하는 fast api 를 선택했다.파이썬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개념자체는 다른 백엔드와 다르지 않고 참고할것도 많아서 개발하는데 문제 없을거라고 생각했다. FastAPI란 무엇인가?FastAPI는 Python 3.6 이상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웹 프레임워크다. Starlette과 Pydantic 위에 구축되어 있으며,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완벽히 지원하며, 자동 문서화 기능(OpenAPI 기반)이 내장..

BackEnd 2025.05.08

요즘 포스팅이 뜸한 이유

나는 요즘 생산성의 폭발을 경험하고 있다.cursor ai 로 프로토타입 정도는 순식간에 뽑아내고내가 약했던 디자인도 cursor to figma 같은 mcp 플러그인으로 수준급으로 뽑아낼 수 있어졌다.그 반대로 figma 의 디자인을 cursor 로 옮겨와서 바로 레이아웃을 완성할 수도 있다.내가 필요한 이미지나 그래픽 리소스는 gpt 를 이용하면 수준급으로 뽑아낸다.그리고 내가 필요한 부분 ai 누끼를 이용하면 추출해서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머릿속에 가득했지만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다른 영역에 약하다는 이유로 못했던 것들을막힘없이 만들 수 있게 됐다.앞으로 이 속도는 더 빨라질거고 미래에는 1인 창업자들의 시대가 될 거라고 확신한다.미친듯한 생산성의 증가로 한명이서 5명의 일을 할 수 있게 됐으니의..

잡담 2025.04.04

구글 플레이의 쓰레기 같은 정책

최근에 앱을 출시해보려는 사람들이면 알겠지만2023년 11월 이후로 만든 계정이라면 이제 앱을 출시할때 비공개 테스트를 거쳐서 테스터를 직접 모집한 뒤에14일간 테스트를 시켜야 프로덕션으로 갈 수 있게 변경됐다. 전에는 20명을 모으라고 했지만 지금은 12명으로 줄어든거 같다.반발이 많았던건지 어떤건지는 모르겠지만 완화를 할게 아니라 그냥 폐지해야하는 쓰레기 정책이다. 본인들은 이 방식이 앱이 더 성공할 가능성이 크고 품질이 좋은 앱들이 등록되게 되어서 모두가 좋다는 논리인거 같은데그들이 예상했는지는 모르겠으나 테스터를 대신 모집하고 대리로 테스트해주는 외주 업체가 생기고오래된 살아있는 개발자 계정을 거래하는 시장이 생겨났다.설마 이렇게 될거라고 예상을 못했을까? 기업에서 개발하는 앱이라면 상대적으로 쉽..

잡담 2025.03.20

개발 근황

요즘은 이것저것 재밌는걸 개발하고 있다. 일단 요즘하고 있는 "모닥모닥" 이라는 앱이다.플러터로 개발됐고 백엔드는 따로 개발하지 않고 supabase 라는 firebase 와 비슷한걸 사용해서 구성했다.캐릭터를 선택하고 모여서 그냥 채팅하는 앱이다. 프라이빗한 채팅 커뮤니티와 초대로만 입장 가능한 채팅방, 그리고 모두가 캠프파이어를 떠나면 사라지는 채팅방이라는 컨셉이다. 이렇게 출시를 할까도 생각했는데 추가로 업데이트 해나가고 싶은 기능들에 한계를 느껴서 내부를 유니티로 개발할까 생각중이다.캠프파이어랑 주변에 캐릭터 배치, 카메라 시점이동 기능까지는 구현을 했고 잘 통합시키는건 앞으로 해봐야한다.    다른 프로젝트는 스크린샷은 아직 없는데 홍보를 위한 서비스가 될 것 같다.나는 항상 앱을 개발하는 것 ..

카테고리 없음 2025.03.14